글씨 21

글씨와 놀다. 매거진 '글씨 21'

서예·캘리그라피

[Column]

2017-08-18
성인근의 글씨를 읽다 - 6

변관유감(邊款有感)



1.

지금 예술의전당에서는 제백석(齊白石; 1864~1957)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중국에서 회화의 큰 스승이자 세계적 문화예술의 명인(名人)이라 추존해 마지않는 인물의 전시이다한국에서도 본토를 밟지 않고 그의 실제 작품을 접할 수 있는 더 없이 좋은 기회이다나는 아직 가보지 않았지만 전시가 끝날 즈음 한산할 때를 틈타 그의 작품을 조목조목 만나러 갈 작정에 들떠있다.


제백석은 중국화 방면에서 이전과는 다른 뚜렷한 자기 색깔을 구현해 크게 성공한 사례로 알려졌지만 사실 그 예술세계의 본령은 서예와 전각에 있다고 나는 확신하고 있다특히 그의 전각에는 동양미술이 갖추어야 할 역량과 창신(創新)의 정신이 응축되어 있다목공 출신이었던 그에게 칼을 쓰는 전각 분야는 더욱 친숙하고 근본적인 예술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제백석076.jpg

제백석(齊白石), 안득자손보지(安得子孫寶之, 1933(민국 22).


나는 그의 인보를 보며 항상 눈에 거슬리는 하나의 전각을 발견하곤 한다그의 나이 71세 때인 1933년 작 안득자손보지(安得子孫寶之이다전통시대 한자문화권의 기본적인 서사형태가 오른 쪽에서 왼쪽으로 하는 세로쓰기가 상식이지만특이하게도 이 인장은 왼쪽에서 오른 쪽으로 거꾸로 새겨져 있다요즘의 전각가들도 집중하지 않으면 글자를 거꾸로 새기거나 순서를 잘못 새기기도 하지만이를 버젓이 작품이라 내놓지는 않는다그의 전각은 단순한 실수였을까어떤 창신의 목적이었을까이리저리 추측해 보았지만 답은 아주 간단했고그가 새긴 변관(邊款속에 담겨 있었다.


日來寶姬病作 吾心愁悶 行坐未安 只好刻印消愁 悞刻左旋 無意再刻也 癸酉四月初八日 時居舊京鴨子廟側 白石自記

며칠 동안 보희(寶姬)에게 병이 났다나는 근심과 걱정으로 걸어 다니기도 앉아있기도 편치 않았다어쩔 수 없이 인장이나 새기며 근심을 씻고자 했으나 잘못하여 왼쪽부터 새기고 말았다그러나 다시 새길 마음은 없다계유년(1933) 4월 초8일 옛 수도(成都)의 압자묘(鴨子廟옆에 거처할 때 백석 스스로 기록함.”



제백석과 호보주.jpg

제백석(齊白石)과 호보주(胡宝珠)


변관에 보이는 보희(寶姬)는 제백석의 두 번째 부인 호보주(胡宝珠)의 별칭이다그녀는 1919년 18살의 나이에 57세의 제백석과 결혼했고이후 20여 년간 함께 생활했다결혼한 지 14년 쯤 된 어느 4월에 젊은 부인이 병을 앓아누웠고근심하던 제백석은 마음 둘 곳을 찾아 전각을 했던 모양인데정신이 황망하여 그만 글자의 순서를 거꾸로 새기고 말았다그러나 그는 한 번 새긴 전각에 다시 손 댈 마음이 없었다이 전각에서 변관이 없었더라면 아마도 나는 이 작품에 대한 무수한 추측을 지금도 하고 있었을지 모른다. 


2.

수진본(袖珍本)’이란 형태의 책이 있다한자 그대로 소매 안에 넣고 다닐 수 있을 만큼 작고 소중한 책이다한국에서는 과거를 준비하는 유생들이 사서오경 또는 시문류를학승들은 불경을그 밖의 사람들은 평소에 자주 보는 내용을 조그마한 책에 깨알 같은 글씨로 써서 소매에 넣고 다닌 데서 유래하였다일본에서도 이와 같은 형태의 책을 마메혼(豆本)’이라 부르며우리들이 흔히 말하는 포켓북(pocket book)과 다름이 없다수진본은 크기는 작지만 책이 갖추어야 할 내용과 형식을 빠뜨리지 않았고언제 어디서나 휴대하며 편리하게 읽을 수 있다는 지혜가 담겨진 발명품이다.


중국의 화가이자 학자인 매묵생(梅墨生, 1960~ )은 전각(篆刻)에서 변관(邊款)의 가치를 수진비각(袖珍碑刻)’이라 명명한 적이 있다작은 형태이지만 책이 갖추어야 할 내용을 온전히 담아내고 있는 수진본처럼전각에서 변관의 가치는 서예와 금석학이 담아야 할 내용과 형식의 함량을 모두 충족하고 있다는 견해로나는 이를 적절한 비유이자 탁견이라 생각한다.


변관은 흔히 인장의 측면에 새긴다는 점에 착안하여 측관(側款), 혹은 인관(印款)이라고도 하며새겨진 내용을 중시하여 변발(邊跋), 인발(印跋)이라고도 부른다여기에 담기는 내용은 제작자의 이름이나 아호로부터제작의 시간과 장소혹은 작가의 심경 등을 담기도 한다어떤 경우는 제작과 관련한 소소한 이야기나 전각에 대한 비평시문 등을 새기기도 한다.


중국 전각사에서 변관의 형식은 이미 한대(漢代)로부터 시작했다진개기(陳介祺)의 십종산방인거(十鐘山房印擧)에는 사마사인리(司馬私印利)라는 한나라의 인장이 보이는데이 인장의 네 측면에는 동심(同心)’ ‘일의(一意)’ ‘장생(長生)’ ‘대부(大富)’ 등의 글자가 남아 있다인간의 바람을 나타낸 간략한 문구이지만 어떤 장르의 기원은 이처럼 작은 곳으로부터 출발한다



조지겸.jpg

조지겸(趙之謙), 찬경양년(湌經養年), 1864.

36세의 조지겸은 죽은 처와 딸을 위해 전각의 형식을 빌어 조상과 조상기를 제작했다.




중국 전각사에서 변관예술이 꽃을 피운 시기는 청대(淸代후기로등석여(鄧石如), 오양지(吳讓之), 조지겸(趙之謙), 오창석(吳昌碩등의 출현으로부터다이들의 등장은 전각예술에서 개인적 취향의 독자적인 문호를 열었다는 의미가 있지만변관에 있어서 다양한 시도와 성과의 측면에서도 바라보아야 한다자체(字體)에서도 오체(五體)를 다양하게 구사하였고특히 조지겸의 경우는 자신의 전공인 위비(魏碑)의 해서를 변관에 차용하기도 했다또한 글씨는 물론 한나라의 화상석불상 등의 고전적 미술자료를 변관에 응용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어졌다또한 그 내용에 있어서도 인장에 대한 간략한 정보 외에 여러 시문(詩文등 문학의 장르와 접합하기도 했다전각예술에 있어 변관의 역할은 중국전각사를 더욱 풍부하게 만든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음은 틀림없다.

 


성인근 ․ 본지 편집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