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씨와 놀다. 매거진 '글씨 21'
2017-12-21 |
|
삼척 절터서 통일신라 청동인장 2점 출토 |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흥전리 절터에서 통일신라시대 승단 조직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인장(靑銅印章) 2점이 출토됐다. 문화재청은 삼척시청과 대한불교조계종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제정 스님)가 발굴조사 중인 삼척 흥전리 사지(寺址)에서 지난 8월 한 변의 길이가 5.1㎝인 정사각형 청동인장 2점을 찾아냈다고 5일 밝혔다. 흥전리 사지에서 발굴 당시의 모습. 두 인장은 4호 건물지에 나란히 묻혀 있었고, 인장 한 점은 청동으로 만든 인장함에 보관된 상태였다. 흥전리 사지에서 청동인장이 출토되면서 이름을 알 수 없는 이 절의 위세가 매우 높았다는 사실이 또다시 규명됐다. 이번에 발견된 청동인장들은 끈을 매달 수 있도록 구멍이 뚫린 손잡이가 달렸고, 두 점 모두 양문(陽文)임이 특징이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청동인장 중 한 점에 새겨진 글자를 '범웅관아지인'(梵雄官衙之印)으로 판독했다. 범웅은 '석가모니', '부처'를 뜻한다. 따라서 '범웅관아지인'은 석가모니 관아, 즉 승관(僧官)의 인장이라는 의미다. 이 인장의 서체는 중국 당나라 관인(官印)에 많이 사용된 구첩전(九疊篆·글자 획을 여러 번 구부려서 쓴 전서체)의 초기 형태로 평가됐다. 또 다른 인장에는 획을 여러 번 구부린 추상적 무늬인 기하문(幾何文)이 새겨졌다. 삼척 흥전리 사지에서 나온 통일신라시대 청동인장. 왼쪽이 '범웅관아지인' 오른 쪽이 기하학적 문양의 인장. 출토된 청동인장은 한국사 및 인장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다. '삼국사기'와 '고려사' 등에 따르면 통일신라시대에 관인은 국가가 주조했고, 고려시대에도 국가가 지방 주군(州郡)의 승관인(僧官印)을 거둬들이는 등 관인을 직접 관리했다. 연구소 측은 "‘범응관아’라는 명문은 문헌과 금석문을 통틀어 처음 확인된 용어인데, 통일신라시대 승단 조직과 국가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중요한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빈약한 한국전각사에서 출토지가 분명한 사찰전각의 사례가 많지 않아 인장사 및 전각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2017. 12. 21 글씨21 편집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