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월步月, 통일을 걷다
우석재단은 우석 최규명(1919~1999) 탄생 100주년 서예·전각 특별전으로 <보월, 통일을 걷다> 를 2019. 6. 7부터 6. 30까지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개최한다.
전시작품은 ▲<일자서> <대자서> <파체서>의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서(書)와 필묵추상 ▲전통 행초서·전예작품 ▲서예·전각 합체 작품 총 120여 점을 망라하고 있다. <보월步月>, 119x122cm, 지본수묵, 1980년대 중반 제작 달 월(月)자를 상형문자(象形文字)로 휘호한 다음 먹물로 붓을 대신하여 작가 자신의 족적(足跡)을 화면에 직접 걸어가며 찍었다. 통일을 드러내놓고 말하기 어려운 엄혹한 시대, 달밤을 걸으며 통일을 염(念)할 수밖에 없는 작가의 말할 수 없는 고뇌 가 찍혀 있다. 족적은 서(書) 문명 내지는 문자(文字) 문명의 시작이기도 하다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이동국 수석 큐레이터는 “우석은 문자구조/게슈탈트의 창조적 파괴자이다. 조형과 내용 양면에서 작가가 실존하는 시대의 아픔인 ‘통일’ 문제를 평생에 걸쳐 역사전통으로 무고(撫古)하고 염(念)하면서도 전통에 머무르지 않는다. 오히려 전위적인 필획과 문자구조에 분단의 고통과 통일의 열망이라는 실존문제를 정면으로 녹여내고 있어 전통서예와도 일본 전위서도와도 서구의 순수추상미술과도 차별적이다.”라고 말한다. <복>, 123 x34cm, 지본수묵, 1990년대 중반 제작 무쇠작대기 같은 강건한 직획(直劃)을 위주로 한글의 ‘복’자를 휘호하고 한자로 수(壽) · 부(富) · 강녕(康寧) · 유호덕(攸好 德) · 고종명(考終命)의 오복(五福)을 적었다. 특히 일기가성(一氣呵成)으로 한 호흡에 단숨에 그어재낀 수평획(水平劃)인 중성 ‘ᅩ’ 획을 기준으로 대각으로 가로지르는 초성 ‘ᄇ’ 획과 종성 ‘ᄀ’ 획을 상하(上下)로 배치시키면서 기존의 기능적이고 평 면적인 한글구조/게슈탈트를 다이나믹한 창조공간으로 파괴시키고 있다. 이런 공간 경영 능력은 한자서와 전각을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우석만의 독자적인 경지이고 성취이다.
우석의 아들이자 우석재단 이사장 최호준(전 경기대 총장)과 근원 김양동(계명대 석좌교수, 서예전각가), 이종목(이대 동양화과 교수), 이동국(서예박물관 수석큐레이터)의 참여로 기획된 이번 전시는‘통일’을 키워드로 [I부] 보월, 백두한라 [II부] 천리 길도 한걸음부터 [III부] 파라다이스 [IV부] 나를 이기다 총 4부이다. 주요 전시 작품은 <산홍산>, <금강산>, <고려>, <산>, <반핵>, <주체>, <인내천 천내심>, <자강불식>, <협>, <보월> 등이다. <고려(高麗)>, 188x243cm, 캔버스에 아크릴, 1990년대 중반 제작 ‘려(麗)’를 상형문자에서 사슴[록(鹿)] 원형을 불러내어 ‘고(高)’자의 다리와 사슴의 다리를 한 획(劃)으로 묶어서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고딕계통의 영어 알파벳으로 'KOREA'라고 작품의 하단부에 활자화시켜 내고 있다. 그야말로 문자구조의 창조적 파괴로서 ‘문자유희(文字遊戱)’ 그 자체다. 이미 우석의 ‘고려(高麗)’는 사슴이 뛰노는 파라디이스로서 통일조국 한반도의 미 래를 ‘쓰고’, ‘그리고’, ‘치고’있다.
[I부] 보월步月,백두한라白頭漢拏 여기에서는 우리민족의 시대적 과제이자 작가 자신의 실존 문제인 ‘통일(統一)'을 우석이 어떤 철학을 가지고 전위적(前衛 的)이고도 전복적(顚覆的)인 서(書), 각(刻), 필묵(筆墨) 언어로 형상화(形象化) 했는지를 보여준다. 특히 1919년 독립동이로 서 개성이 고향인 작가는 '일제강점기', '광복', '6.25전쟁', '남북분단'의 역사실존을 온 몸으로 겪어 오면서 이산(離散)과 분단 (分斷)의 아픔/고통/슬픔/비애를 어느 누구보다도 처절하게 겪었다. 작가는 이런 시대사회의 아픔을 나의 아픔으로 정면으로 받아들여 필묵(筆墨)으로, 온몸으로, 홀로 한밤에 깨어 간절(懇切)하게, 절실(切實)하게, 사무치게 토로하고 있다.
<산홍산(山虹山)>, <백두한라(白頭漢拏)>, <금강산(金剛山)>, <고려(高麗)>, <박애(博愛)>, <산山>, <반핵(反核)> , <주체 (主體)>, <포일(抱一)>, <인내천人乃天 천내심天乃心>, <자강불식(自彊不息)>, <협(協)>, <월보(月步)> 등이 주요 작품이 된다.
[II부] 천리 길도 한걸음부터, 천리지행시이족하 千里之行始以足下 여기에서는 아무리 원대하고 중차대한 통일 대장정이라도 ‘한 발 한 발’ ‘차근 차근’ ‘스텝 바이 스텝’으로 달성될 수 있음을 작가가 실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개성상인’으로서 사업이나 예술, 심지어 통일문제 해결까지 일이관지(一以貫之) 하는 몸에 밴 생활철학이기도 하다. 여기에서는 특히 ‘묵광(墨狂)’, ‘석치(石痴)’로 한평생 살아 온 작가의 전각(篆刻)과 서예(書藝) 세계가 어떻게 같고도 다르게 한 화면(畵面)에서 조화(調和)롭게 만나고 있는가를 보여 준다. 주요 전시 작품은 <실사구시(實事求是)>, <장생안락(長生安樂)>, <무(無)>, <몽(夢)>, <측은지심 사양지심(惻隱之心 辭讓 之心)>, <파사현정(破邪顯正)>,<천리지행시위족하(千里至行始爲足下)>등이다. [III부] ‘파라다이스 鹿鳴’ 여기에서는 작가의 마음에 각인(刻印)된 남북통일(南北統一) 이후의 이상적인 우리나라 모습을 ‘사슴이 우는 파라다이스' 로 상정하고 이제는 필묵(筆墨)으로 ‘쓴’ 것이 아니라 돌에다 ‘새긴’ 것이다. ‘부귀(富貴)’와 ‘장락(長樂)’은 양의 동서(東西)와 고금(古今)을 막론하고 인간이면 누구나 희구하는 복지(福祉) 세상이다. 하지만 작가는 통일 후 전개될 이러한 파라디이스를 미래가 아니라 신화(神話)시대와 고대 문명 사회로부터 호출해 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여기서 주목되는 작품은 <락(樂)>, <녹명(鹿鳴)>, <영수가복永壽嘉福>, <복록수우천福祿受于天>, <장락(長樂)>, <청 산백운인(靑山白雲人)>, <직재기중(直在其中)> 등이다.
[IV부] 나를 이기다, 극기 克己 여기에서는 예술가로서, 사업가로서, 말만이 아니라 작가 자신이 평생 염(念)하고 지키고 실천(實踐)해 온 덕목들을 보여 주고 있다. 이것은 통일(統一) 이전은 물론 이후에도 인간(人間)이라면 당연히 실천해야 할 것들이다. 눈 앞의 국토통일, 경제통 일, 정치통일만이 아니라 문화통일, 정신통일이 될 때 남북(南北)이 진정한 완전체(完全體)가 된다. 주요작품은 <극기(克己)>, <죽림(竹林)>, <대오(大悟)>, <독선(獨善)>, <근무가보(勤無價寶)>, < 안분(安分)>이다. 이번 전시를 주최한 우석재단 최호준 이사장은 이제 시대가 시대인 만큼 “어떤 정치적 동기나 야망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 자주(自主) 독립(獨立)된 국가와 민주화(民主化)된 사회에서 소시민(小市民)으로 갖추어야 할 소양을 앎에서 그치지 않고 실천 (實踐)하는 것이 최소한의 책무(責務)라고 생각하고 행동(行動)했던 순수성(純粹性)이나 용기(勇氣)는 높이 평가받아야 하지 않을까!” 하고 있는 그대로 우석의 예술 세계가 평가되기를 바라고 있다.
요컨대 우석 서(書)는 진정 독립되고 민주화된 국가의 소시민의 소양실천의 결정이기에 지금에 와서 이제는 달밤이 아니라 대낮에 우리 시대 서(書)의 미래로서, 통일(統一)의 열망실천으로서 다함께 노래 부를 수 있는 것이다.
<협(協)>, 63x125cm, 지본수묵, 1990년대 중반 제작 먹의 윤갈(潤渴)대비가 극심한 행서(行書)로 일자대자서(一字大字書)를 휘호하고, 손바닥과 팔뚝까지 먹으로 미끄러지듯 찍어내고있다.하지만아무리손을내뻗어도어느누구도내미는손이없다.통일을향한작가의처절한절규(絶叫)가온화 면에가득배여있다.엄혹한시대가말해주듯대낮이아니라한밤에홀로깨어‘보월(步月)’로부를수밖에없는시대의‘통일 (統一)’ 의 붓질이고 붓 길이다
우석작품세계에 대해 근원 김양동은 “어떤 계보에도 걸림없이 무수한 내공으로 육화된 충동적 본능의 덩어리, 무의식의 세계를, 자생적 예술의 경지로 끌어 올려 백두에서 한라까지를 붓 한자루의 조형성으로 표현한, 한국 서단에 전인미답의 길을 열어놓았다” 평하고 있다. <산山>, 63x125cm, 지본수묵, 1990년대 중반 제작. 하늘이 울어도 울지 않는 요지부동(搖之不動)의 산(山)의 이미지를 무쇠작대기보다 더한 육중한 필획(筆劃)으로 형상화하 고 있다. 작가에게 ‘남북통일(南北統一)’이란 작품<산>과 같이 물러 설 수 없는 우리 민족의 절대명제이다.
우석은 1919년 독립동이로서 개성이 고향으로 '일제강점기', '광복', '6.25전쟁', '남북분단'을 온 몸으로 겪어 온 세대이다. 그러한 시대에 개성상인이자 20세기 한국서단의 아웃사이더로서 고독한 필묵투사이자 독보(獨步), 독선(獨善)의 통일작가가 우석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미래 서의 길을 제시했다고 평가받는 우석 100년의 작품세계를 만나보게 되기를 바란다.
2019.6.4 글씨21편집실
<전시정보> 우석又石 최규명崔圭明탄생 100주년 서예(書藝)·전각(篆刻)특별전 보월步月, 통일統一을 걷다 기간 : 2019. 6. 7(금) - 6. 30(일) 장소 :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2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