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씨 21

글씨와 놀다. 매거진 '글씨 21'

문인화

[News]

2017-12-21
삼척 절터서 통일신라 청동인장 2점 출토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흥전리 절터에서 통일신라시대 승단 조직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인장(靑銅印章) 2점이 출토됐다. 문화재청은 삼척시청과 대한불교조계종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제정 스님)가 발굴조사 중인 삼척 흥전리 사지(寺址)에서 지난 8월 한 변의 길이가 5.1인 정사각형 청동인장 2점을 찾아냈다고 5일 밝혔다.

 

AKR20171205045951005_04_i_org171205 (1).jpg

흥전리 사지에서 발굴 당시의 모습.

 

두 인장은 4호 건물지에 나란히 묻혀 있었고, 인장 한 점은 청동으로 만든 인장함에 보관된 상태였다. 흥전리 사지에서 청동인장이 출토되면서 이름을 알 수 없는 이 절의 위세가 매우 높았다는 사실이 또다시 규명됐다. 이번에 발견된 청동인장들은 끈을 매달 수 있도록 구멍이 뚫린 손잡이가 달렸고, 두 점 모두 양문(陽文)임이 특징이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청동인장 중 한 점에 새겨진 글자를 '범웅관아지인'(梵雄官衙之印)으로 판독했다. 범웅은 '석가모니', '부처'를 뜻한다. 따라서 '범웅관아지인'은 석가모니 관아, 즉 승관(僧官)의 인장이라는 의미다. 이 인장의 서체는 중국 당나라 관인(官印)에 많이 사용된 구첩전(九疊篆·글자 획을 여러 번 구부려서 쓴 전서체)의 초기 형태로 평가됐다. 또 다른 인장에는 획을 여러 번 구부린 추상적 무늬인 기하문(幾何文)이 새겨졌다.

 

image_readtop_2017_805063_1512437799.jpg

삼척 흥전리 사지에서 나온 통일신라시대 청동인장. 왼쪽이 '범웅관아지인' 오른 쪽이 기하학적 문양의 인장. 

 

출토된 청동인장은 한국사 및 인장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다. '삼국사기''고려사' 등에 따르면 통일신라시대에 관인은 국가가 주조했고, 고려시대에도 국가가 지방 주군(州郡)의 승관인(僧官印)을 거둬들이는 등 관인을 직접 관리했다. 연구소 측은 "‘범응관아라는 명문은 문헌과 금석문을 통틀어 처음 확인된 용어인데, 통일신라시대 승단 조직과 국가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중요한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빈약한 한국전각사에서 출토지가 분명한 사찰전각의 사례가 많지 않아 인장사 및 전각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2017. 12. 21

글씨21 편집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