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씨 21

글씨와 놀다. 매거진 '글씨 21'

문인화

[News]

2018-01-05
「삼국사기」‧「삼국유사」등 ‘국보’ 승격, 김홍도·신윤복 그림 등 ‘보물’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김종진)보물 제525호 삼국사기, 보물 제1866호 삼국유사3건을 국보로 승격 예고하고,김홍도 필 마상청앵도8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이번에 국보로 승격 예고된 것은 삼국사기 2건과 삼국유사 1건이다. 보물 제525삼국사기(三國史記)(1970.12.30 지정) 1573(선조 6) 경주(慶州府)에서 인출(印出)하여 경주 옥산서원에 보내준 것으로, 조선 태조와 1512(중종 7) 개각한 판()고려 시대의 원판이 혼합된 것이 특징이다.

 보물 제525호 삼국사기.jpg

보물 제525호 「삼국사기」


보물 제723삼국사기(三國史記)(1981.7.15 지정) 역시 보물 제525호와 유사한 판본을 바탕으로 인출한 책으로, 인출 당시의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 두 건의 삼국사기 9책의 완질본이자 고려~조선 초기 학술 동향과 목판인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보물 제723호 삼국사기.jpg

보물 제723호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김부식(金富軾, 10751151)1145(고려 인종 23)에 삼국시대의 역사를 정리한 우리나라 최초의 관찬사서(官撰史書, 국가 주도로 편찬한 역사서)로서, 국보 지정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물 제1866삼국유사 권12(三國遺事 卷一(2015.3.4 지정) 조선 초기 판본으로, 비록 총 5권 중 권12권만 남아 있으나 결장(缺張)이 없는 완전한 인출본이다. 임신본(壬申本)’으로 알려진 1512년 간행 삼국유사중 판독하기 어려운 글자를 보완하고 현존하지 않는 인용문헌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이미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2건의 다른 삼국유사와 대등한 가치가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삼국유사.jpg

보물 제1866호 삼국유사 권1~2


삼국유사고려 일연(一然) 스님이 1281(충렬왕 7) 고조선부터 후삼국의 역사문화에 관한 설화 등을 종합한 역사서라는 점에서 한국 고대사 연구 보고(寶庫) 알려져 있으며, 지금까지 2건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이번 지정으로 우리나라 역사 연구의 시초를 이룬 두 사료의 위상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광사 필 서결.jpg

이광사 서결


이광사 필 서결(李匡師 筆 書訣)조선 후기 대표적 서예가인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 17051777)가 자신의 서예이론서인 서결(書訣)중 전편(前篇)에 해당하는 내용 1764(영조 40) 필사한 것이다. 주로 서예의 기본적인 필법을 담고 있으며 이론과 평론을 겸했던 이광사의 면모와 필력을 잘 보여주는 서예작품이다. 조선 시를 통틀어 매우 희귀한 서예이론이자 우리나라 서예이론 체계를 연구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료이다.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jpg

김홍도 마상청앵도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金弘道 筆 馬上聽鶯圖) 조선 후기 최고의 화가로 평가받는 김홍도(17451806년 이후)의 작품으로, 선비가 말을 멈추고 시선을 돌려 버드나무 위의 꾀꼬리를 바라보는 모습을 그린 풍속화이다. 이 그림은 김홍도의 다양한 작품세계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자연과 교감하는 인간의 섬세한 모습을 표현하여 조선 풍속화 중 가장 서정미가 뛰어난 작품으로 손꼽힌다.

 

신윤복 미인도.jpg

신윤복 미인도


신윤복 필 미인도(申潤福 筆 美人圖) 조선 후기 풍속화에 있어 김홍도와 벽을 이룬 신윤복(1758년경1813년 이후)이 여인의 전신상(全身像)을 그린 작품이다. 화면 속 여인은 머리에 가체를 얹고 회장저고리에 풍성한 치마를 입고 있는데 이처럼 여인의 전신상을 그린 미인도는 신윤복 이전에는 남아 있는 예가 거의 없다. 작품은 19세기의 미인도 제작에 있어 전형(典型)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예술적 의의가 크며, 필치나 화풍에서도 신윤복의 회화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로 지정 예고한 보물 제525삼국사기11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8. 1. 5

글씨21 편집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