石甫 李吉遠의 大巧若拙과 寜醜毋媚의 실현
이 영 철(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총장)
1. 들어가기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사람과 만나고 헤어짐을 반복한다. 그러나 만남의 인연은 쉽지 않아 일찍부터 헤아릴 수조차 없는 길고 긴 시간인 ‘겁(劫)’으로 표현하였다. 흰두교에서는 ‘한 겁’을 43억2천만년이라 하고, 불교에서는 가로×세로×높이가 각 100m인 바위를 100년에 한 번씩 스치고 지나는 천사의 옷자락에 그 바위가 다 달아 없어지는 시간을 1겁이라 이른다고 한다. 우리가 살면서 옷깃을 스칠 수 있는 인연은 500겁을, 사람과 사람이 하루 동안 동행 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데는 2천겁의 세월이 지나야 하며, 이웃으로 태어나 살아가려면 5천겁의 인연이 되어야 하고, 하룻밤을 같이 지낼 수 있으려면 6천겁이 넘는 인연이 있어야 하여, 억겁의 세월을 넘어서야 평생을 함께 살 수 있는 인연이라고 한다.
이렇듯 긴 시간 인연의 ‘겁’을 지내야 만날 수 있다는데, 석보 이길원 동학(同學)과 필자와는 근 20여 년 전에 만나 지금껏 교유(交遊)하고 있으니 과연 전생에 몇 천만겁 이상의 인연은 쌓았을 것이다. 그리고 이 인연의 과정에서 천학비재인 나에게 전시회 후일담(後日談)을 요청하니 어떻게 사양할 수 있겠는가? 그저 어리석고 부족함을 뒤로한 채, 우리의 인연에 답하고자 한다.
2. 대교약졸(大巧若拙)의 실천
노자(老子)는 『도덕경(道德經)』 4장에서 “아주 곧은 것은 굽은 것 같고, 아주 교묘한 것은 서투른 것 같고, 아주 말 잘하는 것은 말더듬는 것 같다(大直若屈 大巧若拙 大辯若訥)”고 말하였다. 이렇듯 우리의 주된 관심사인 ‘대교약졸’은 기교와 서투름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음악, 미술, 공예, 건축 등의 예술분야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노자사상의 적자라고 할 수 있는 장자(莊子) 또한 이런 관점에서 ‘대교약졸’을 바라보았다.
즉 『장자(莊子)』 거협(胠篋)편에서 모든 인위적인 기교를 완전히 부정하고 자연스러운 상태로 돌아갔을 때 “천하 사람들은 비로소 진정한 기교를 지닐 수 있으니 큰 교묘함은 마치 서투르게 보인다(而天下始人有其巧矣 故曰大巧若拙)”고 하였다. 다시 말해서 “고대 음악의 달인인 사광(師矌)의 귀를 막아야 비로소 사람들의 귀가 밝아질 것이고, 눈이 지극히 밝은 이주(離朱)의 눈을 붙여놓아야 비로소 천하의 사람들이 밝음을 지니게 될 것이며, 최고의 장인인 공수(工倕)의 손가락을 비틀어 버려야만 천하에는 비로소 사람들이 교묘함을 지니게 될 것이다”고 하였다. 이 말은 모든 인위적인 기교를 완전히 부정하고 자연스러운 상태로 돌아갔을 때 비로소 진정한 기교를 알 수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렇듯 ‘대교약졸’의 해석은 대체로 인위적인 ‘교’와 무위자연의 ‘졸’을 서로 대립적으로 상정하고, 인위적인 기교미(技巧美)보다는 자연스러운 졸박미(拙樸美)를 지향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물론 이 말은 틀리지 않다. 그러나 또 다른 해석으로 ‘대교약졸’에서의 ‘졸’이 단순히 ‘교’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교’를 무조건 배척하고 부정하는 ‘졸’이 아니라, ‘교’를 포괄하는 ‘졸’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여기서의 ‘졸’은 그냥 단순히 서툰 것이 아니라 겉으로는 서툰 듯이 보이지만 사실은 기교의 최고 경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졸’에 대한 또 다른 해석은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1570-1652)선생 『청음집』 38권의 「용졸당기(用拙堂記)」라는 글에 보인다. 여기에 보면 민성휘(閔聖徽, 1582-1647)라는 분이 벼슬에서 물러난 뒤 충청도 가림(嘉林)에 터를 잡아 집을 지었고, ‘용졸(用拙)’이라는 자신의 호를 따서 ‘용졸당(用拙堂)’이라고 당호를 붙인 뒤, 청음선생에게 기문(記文)을 지어 줄 것을 청하였다. 이에 청음선생은 “졸이란 것은 덕이다.(拙者 德也)”라고 해석하고 있다.
우리는 보통 ‘졸’은 ‘어리석다’ ‘서툴다’ 등의 뜻을 갖는 글자로, 뛰어나지 않고 별 볼일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고 알고 있다. 그렇지만 서툴고 어리석기 때문에 꾸민 데 없이 수수하며 자랑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재능이 매우 뛰어난 사람은 그 재능을 쉽게 드러내지도 않고 자랑하지도 않으므로 언뜻 보기에는 도리어 서툰 사람 같아 보인다는 뜻이다.
그렇다. 석보는 분명 ‘졸’을 추구하며 실천하는 사람이다. 일찍이 대한민국서예대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으나 어느 곳이나 누구에게도 자신을 내세우지 않았고, 심지어 긴 시간을 은둔(隱遁)하며 자신의 작업에만 몰두한 서예가이다. 오늘 그의 편린(片鱗) 역시 ‘사랑하게 되면 닮아간다’는 말과 ‘서여기인(書如其人)’이라는 성어가 대변해 주고 있다. 더욱 갈수록 시끄럽고 혼란스러워지는 서예계에 묵묵히 자신의 위치를 지키며 성실하게 ‘대교약졸’을 실천하는 예술인이다.
3. 석보예술의 정체성
요즘 우리 서예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에게는 ‘한국서예’라는 말로 중국이나 일본과 차별화된 한국적인 서예미의 특성을 찾으려는 노력과 고민의 흔적이 숨어 있다고 하겠다. 또한 이는 역사적으로 내려오면서 형성된 민족적 정체성과 자각에 그 뿌리를 두고 있을 것이다. 물론 한국서예는 중국이라는 틀을 완전히 벗어나서 생각할 수는 없겠다. 역사 문화 종교 학문 등 거의 전 영역에서 우리나라에 끼친 중국의 영향이 막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자문화를 공통분모로 하면서도 우리나라는 우리만의 고유한 영역을 확보해 오고 발전시켜 나왔음도 사실이다.
우리는 한국서예를 탐구할 때, 중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서예미를 제시하려고 애써왔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이 우리의 탐구를 지체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우리 서예가 중국서예와 흡사하더라도 우리가 선택한 것이라면 우리의 서예가 되는 것이 아닌가. 다시 말해서 우리 서예의 독특함만을 부각시키면서 중국의 영향을 애써 배제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그것이 중국의 지대한 영향에서 탄생되었다 해도 우리의 선택에 의해 취한 것이라면 우리의 서예가 되기에 전혀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 이를 테면 같은 문화권이라고 해도 중국과 일본인이 바라보는 아름다움과 한국인이 바라보는 아름다움이 다름은 틀림없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서예의 미를 전통적인 기법에서에서만 찾는다면, 한국적인 서예미는 생명력을 잃어 박제화 될 수도 있다. 어설픈 옛것 흉내 내기는 서예가의 활력을 앗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서예가 자신이 한국적인 서예라고 생각하는 것이라면, 그 어떤 것이든 어떤 방식으로든 표현하면 된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지금까지의 한국적인 미라고 말하는 ‘무작위의 작위’나 ‘자연의 미’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탐구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만이 다양함과 함께 활력과 생명력을 되찾을 수 있지 않겠는가. 아래는 석보의 작품을 살펴 그 특징을 찾아보겠다.
서예작품으로 <기장산하(氣壯山河)>는 일필휘지(一筆揮之)의 용묵(用墨)과 율동감이 돋보인 운필(運筆)의 작품이다. 또한 <고시일구(古詩一句)>는 본인의 작품 중 <령추무미(寜醜毋媚)>의 실현인 듯하다. 전각의 작품으로 <설조산방(雪爪山房)>은 균형 잡힌 구성과 여백이 돋보이고, 그리고 초형인의 <됴룡뇽>과 <물고기와 새>는 도필로 서화동원(書畫同源)을 이해하게끔 한다. 이들 모두는 정연한 균제(symmetry)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주도면밀한 장법과 오랜 시간의 정신 수양의 결과물일 것이다.
아울러 그림 <상(象)>, <거울아이>, <차마 들어갈 수 없었다.>, <길 찾기>, , <자연재앙>, <슬픈 크리스마스> 등에서 보듯이 극단적인 사실성보다는 ‘무계획적’ 또는 ‘자연 그대로의’ 소박성이 돋보인다. 더욱 ‘새(鳥)’를 주제로 하는 작품 <흘겨보다>, <검은 새> 등은 채움과 비움의 미학이 공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결과적으로 오늘 보여준 석보의 작품들은 ‘대교약졸’의 아름다움으로 정련된 소박미와 심오한 단순미, 그리고 숙련된 평담미(平淡美)에 분산된 통일미, 또한 배경과의 조화미를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대중이 선호하는 서예미와 석보 자신만의 주체성, 그리고 현재성이 작품에 녹아 들어 있다. 단지 일부 예술가나 서예가가 서예를 추상예술이나 선(線)의 예술에 구속시키고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겠다. 물론 문자 자체가 추상적인 부분이 없지 않고, 선을 ‘긋는다’는 의미에서 생각한다면 일리가 전혀 없는 말은 아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문자의 가독성(可讀性) 문제는 차치하고서라도, 서예가 문자의 점획(點劃)이 어울려 조화로운 자형을 표현하는 것임을 생각한다면 적절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 점 계속적인 화두로 삼았으면 한다.
4. 나가기
이길원은 인품의 절개와 지식의 함양을 중시하는 서예가요 전각가이며 화가이고 다도인(茶道人)이다. 다시 말해서 서화각다(書畵刻茶)의 사절(四絶)로 불리는 문화와 예술의 모든 부문에서 뛰어난 ‘퓨전 아티스트’이다. 어릴 적부터 타고난 천성(天性)을 바탕으로 박학다식(博學多識)함을 더해 그의 예술에 승화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의 편린(片鱗)들을 어떻게 일일이 나열할 수 있겠는가.
필자의 아둔함을 탓하며 장석주시인의 ‘대추 한 알’이라는 시구절로 글을 맺고자 한다.
“저게 저절로 붉어질 리는 없다
저 안에 태풍 몇 개
저 안에 천둥 몇 개
저 안에 벼락 몇 개(중략)”
東方文化大學院大學校 總長 李永徹 두손모음
2020년 8월